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역학 이야기39

역마살(驛馬殺)과 반안살(攀鞍殺) 사주용어에서 자주 언급되는 역마살과 반안살이 무슨 뜻인지 알아보자. 역마살이 있으면 나쁘다고 하지만, 과거와 현대의 삶의 기준이 다르므로 좋은 살일 수도 있다. 그리고 반안살은 누가 뭐래도 좋은 살이다. 역마살(驛馬殺)역마살은 신살 중에서도 가장 많이 알려지고 유명한 살이다. 역마가 충을 만나면 일생 동안 떠돌아다닌다는 것이다. 역마살은 여행이나 객지로 이동을 관장하는 살로서 사주에 이 역마가 있으면 분주다사하여, 타향이나 외국으로 다니는 등 움직임이 많은 살이다. 그러므로 육친과 떨어져 살기 쉽고, 흉신으로 작용하면 이득도 없이 분주하기만 하다. 일지에 역마가 있으면 길에서 일어나는 사고를 조심해야 할 것이다. 역마는 이동을 뜻하므로 평생 동안 직장 이동이나 이사를 수없이 많이 하고 때로는 가정생활이 .. 2023. 7. 16.
도화살(挑花殺)과 망신살(亡身殺) 사주를 풀이하다 보면, 도화살이 끼었다 혹은 망신살이 끼었다는 등 도화살과 망신살에 대하여 자주 듣게 된다. 정통사주에서 설명하는 도화살과 망신살의 의미를 살펴보자. 도화살(挑花殺)년살이라고도 불리는 도화살은 역마살과 함께 잘 알려진 살이다. 색정문제를 일으켜 때로는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기도 하며, 도화가 사주에서 둘 이상 있게 되면 풍류도화라 하여 주색잡기 등의 일거리로 항상 이득 없이 동분서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도화살이 일지나 시지에 있으면 그 성질이 강하게 작용하여 부부가 서로 다투게 된다. 도화가 월지에 있으면 어머니가 소실인 경우가 많고, 성적인 매력이 있을지라도 이 살이 많으면 오히려 주색으로 인해 패가망신할 수 있다. 반대로 도화살이 있는 사주는 처신을 바로 하면 액을 면할 수 있다.. 2023. 7. 16.
재살(災殺)과 천살(天殺) 역학에서 말하는 재살과 천살에 대하여 알아보자 재살(災殺)이란  재살이란 일명 수옥살이라고도 하며 죄를 짓고 감옥에 갇힌다는 뜻도 된다. 재살의 구성은 사주에서 왕지(旺支)끼리 충돌이 있다면 이것을 재살로 규정한다. 재살은 특별히 다른 살에 비해 관재구설수나 소송 투쟁 등의 살이 많으며 때로는 육신에 질병으로 고통을 받기도 한다. 자일생(子日生)이 오(午)의 재살이 있으면 물과 불을 조심해야 한다. 자(子)는 수(水)이고, 오(午)는 화(火)이므로 수와 화가 부딪쳐 싸우는 형국으로 사주에 이러한 재살이 있으면 마음에 동요가 심하고 부질없이 고민하는 예가 많다.묘일생(卯日生)이 유(酉)의 재살이 있거나 돌아오는 운이 유(酉)이거나 유(酉)의 대운이 오면 다른 이에 의해서 피해를 볼 수 있게 되므로 주의해.. 2023. 7. 6.
신살(神殺)과 겁살(劫殺) 역학용어에 자주 사용되는 신살과 겁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신살(神殺)신살이라고 하면 보통 좋은 작용을 하는 것도 있고 나쁜 작용을 하는 것도 있다. 좋은 뜻의 길신이 있고 나쁜 뜻의 흉신이 있다. 신살은 일명 당 사주라고도 하며 우리 선조들이 주로 즐겨 보았던 운명 판단법인데 적중률이 높은 편이므로 오늘날에도 사주의 판독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 것이다. 잘 맞지 않으면 현재까지 남아있지 않고 묻히기 쉬우나 아직까지 널리 알려진 것을 보면 과거부터 신살이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뜻이 되기도 한다. 사주를 볼 때는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 중에 하나가 용신이 되는데 신살도 용신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앞으로 나오게 될 십이지 신살은 예전에는 년지의 기준으로 보았었는데, 현대에 와.. 2023. 7. 4.
십이포태운성법(十二胞胎運星法) 십이포태운성법이란십이포태운성법이란 천간과 지지가 만나서 죽고 사는 생사 관계의 운성법이다. 생왕묘절(生旺墓節)을 논하게 되는 십이운성법이란 천간이 지지와 결합하여 음양을 이루어 살다가 그의 힘이 다하면 죽게 되는 이치로서 그것은 우리 인간사에는 생로병사에 관련된 일이다.  십이포태운성법의 활용그런데 포태운성법을 이해하려면 천간과 지지가 만나서 생하고 쇠해져 시들어 가는 함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역학을 공부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된다. 사주를 공부함에 있어서 일주가 신약이냐 신강이냐 하는 것도 십이운성에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우리가 알아야 사주의 신강을 구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태어날 때 사주팔자를 타고났지만, 어느 누구는 태평성대하게 잘 살고, 어느 누구는 고생과 고통과 시름 속에서 한.. 2023. 7. 4.
역학용어-흉명(凶命) 사주법에 따라서 감정하여 파격의 조건에 적합하거나 그 범위에 준하는 것이다. 사주에 따라 파격의 조건에 적합한 것은 흉명의 부류에 속하고 운의 진폭이 심한 것이다. 아래의 각 조항은 각각의 격식마다 각 항목에서 세부사항이다.  상관격(傷官格)의 흉명신약 사주로 재관(財官)을 볼 때이다.신약 사주로 지지 삼합하여 상관국을 이룰 때이다.신왕 사주로 상관이 약하고 인수를 볼 때이다.신약 사주로 상관이 태과하고 있을 때이다.사주 지지에 형충공망을 대할 때이다.사주 내에서 金水 상관격에 정관을 볼 때이다. 식신격(食神格)의 흉명신약 사주로 재관을 아울러 볼 때이다.신약 사주로 지지 삼합하여 식신 국을 이룰 때이다.신왕 사주로 식신이 약하고 편인을 볼 때이다.신약 사주로 식상이 태과하고 있을 때이다.사주 지지에 형.. 2023. 7. 3.
정인격(正印格)의 용신 정인격은 보통 인성격(印星格)이라 해서 정인과 편인을 합쳐서 부르게 된다. 그러나 엄밀히 따지고 보면 정인격과 편인격은 사주의 원국상 많은 차이점이 나타난다. 나를 도와주는 세력으로서는 똑같다고 하지만 정인과 편인은 음양(陰陽)이 다르기 때문이다. 정인격도 일주를 중심으로 월지 지장간에 정인이 암장되어 있고 천간에 정인이 투출되어야 정인격이 이루어진다.  정인관살격(正印官殺格)  정인관살격은 일주가 신왕하여 정재나 편재가 많게 되면 편관이나 정관을 용신으로 잡는다. 신이 왕한데 재성이 많으면 혼자서 독주를 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관성으로 용신으로 삼아야 한다. 나의 재는 관의 인수이기 때문에 재가 너무 많게 되면 재를 설기함과 동시에 관은 나를 억압하는 관계로 관성을 용신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정인재격.. 2023. 7. 3.
역학용어- 비견(比肩)과 겁재(劫財) 흔히 비견이나 비겁이라는 말을 많이 하게 되는데, 비견이나 겁재를 우리는 확실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가령 나의 신이 왕할 때, 비견이나 겁재가 들어오게 되면 이것은 비겁이 된다.비견과 겁재의 구분 비겁이란 말은 나의 재물이나 권한을 빼앗아 간다는 뜻이다. 그래서 비겁이라고 불리게 되고, 가령 나의 신이 허약하여 나의 권한을 찾지 못할 때에는 비견이나 겁재가 들어와서 나를 도와줄 수도 있다. 비겁과 겁재는 확연히 다른 뜻을 내포하고 있다. 사주에서 일간과 같은 오행이 많으면 이것은 비겁이 된다. 나의 살림살이를 간섭하기도 하고 빼앗아 가게 되는 경우이다. 그러나 나의 신이 허약할 때에는 겁재가 보약이 되고 약한 신을 도와서 힘을 불어넣어 주는 세력으로서 크게 도움을 받게 된다. 그런데 나의 신이 왕 할 .. 2023. 7. 3.
역학용어-용신(用神)의 의미 용신(用神)이란? 사주학에서 용신이란 가장 중요한 신이다. 사주를 판단함에 있어서 중요한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용신이다. 육친 사주에서 누차 말했듯이 사주에 귀한 신은 정재, 편재, 식신, 상관, 정인, 편인, 겁재 등을 뜻한다. 이 육친의 신이 사주 내에서 어떠한 작용을 하느냐에 따라서 사주의 길흉이 달라지듯이 사주 전체를 놓고 판단할 때 신(身)이 강한가, 약한가, 습한가, 조한가를 잘 살피어 이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신이 바로 약이 되는 신이며, 이것을 용신(用神)이라고 하게 된다. 사주를 판독함에 있어서 사주 8字를 가지고 일간을 제외한 나머지 7字가 일간을 도와 줄 수 있는 세력을 가려내어서 사주를 잘 풀리게 하는 것으로 용신이 되는 것이다. 가령 반대 세력과 찬성하는 세력이 팽팽히 .. 2023. 7.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