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역학 이야기39 통관용신(通關用神)과 전왕용신(專旺用神) 통관용신(通關用神) 통관용신이란?오행이 서로 통하지 못해서 양대 세력이 대결하고 있을 때 통관용신을 써서 통하게 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사주팔자 내에서 두 오행의 세력이나 균형이 비슷하여 마주보고 서로 극하고 있는 상태를 통관용신을 사용해서 사주의 오행을 돌아가게 해 주자는 것이다. 통관용신의 적용 통관용신을 많은 사주를 풀어 보고 판독을 해 보아도 쉽게 만나기 드물다. 그렇다고 사주학을 공부하는 입장에서 모르고 넘어갈 일이 아니다. 나중에 통관용신을 만나서 용이하게 쓸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아도 이쯤 되면 이것이 통관용신이구나 하는 정도만 알아도 커다란 수확이다. 이것은 인간관계에서도 마찬가지로 두 사람이 싸움을 하고 있는데 중간에서 말리는 사람이 없다면 그 싸움은 끝없이 지속될 것이다. 누군.. 2024. 9. 16. 억부용신(抑扶用神)과 조후용신(調候用神) 억부용신(抑扶用神)이란사주에서 일간은 본인이므로 일간을 중심으로 사주를 조종하게 된다. 일간이 너무 강하면 나를 극하는 관으로 용신하게 되고 일간이 약하면 약한 신을 돕는 편인이나 정인을 써서 용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간이 왕한데 극제해 주는 관이 약할 때에는 식신 상관이 용신이 된다. 식신 상관은 내가 생해주는 오행으로서 일간이 태왕하면 식신 상관을 용신으로 하여 힘을 설기해 줌으로서 태왕 한 기운이 빠지게 되면 사주의 기능이 원활하게 된다는 뜻이다. 그러나 식신이나 상관이 없다면 나를 극하는 편관 정관으로 용신을 하게 됨으로서 태왕 한 신을 제지해 줌으로서 사주가 평정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를 억부용신(抑扶用神)이라고 부르게 되는데 사주 학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간단한 이치로 서 사용을 .. 2024. 9. 16. 방합(方合)이란? 방합(方合)이란?방합이란 해자축(亥子丑), 인유진(寅卯辰), 사오미(巳午未), 신유술(申酉戌)로서 가족과 동족이 단합하고 있다는 점을 기억한다면 사주를 풀어나가는데 도움이 된다. 12지지에서 4방위에 속하는 방합이 사주 내에 있게 되면 방합의 국을 이루었다고 한다. 방합이란 간단하게 생각을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순수한 동족끼리 또는 가족끼리 어느 단체가 단합을 했다고 생각을 하면 된다. 방합의 힘이 강력하여 여타 다른 오행이 들어와서 행세하기가 매우 곤란한 경우가 많다. 방합의 장점과 단점 예를 들어서 학교에서 학생들이 공부를 하고 있는데 갑자기 다른 학교에서 한 아이가 전학을 왔다고 생각 해 보자. 낯설은 곳으로 전학을 와서 텃세를 물리치고 자기의 행세를 쉽사리 하지 못하는 격이다. 그래서 방합.. 2024. 9. 15. 양인격(羊刃格)이란? 양인격(羊刃格)이란? 양인격은 외격에 속하는 하나의 격국이다. 용신을 잡기 위해서는 격국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양인격은 일간을 중심으로 월지/ 일지/ 시지/ 년지에까지 다양하게 격이 이루어진다. 양인격의 특징 양인격의 사주를 유심히 관찰해 보면 공통점을 발견할 수가 있다. 양인격은 일간이 크게 왕 한 경우가 많고 일간이 타 신보다 월등하게 왕하여 타 신이 쇠하게 된다. 사주팔자 중에서 타 신이란 년주의 조상 궁, 월주의 부모 궁, 일지의 배우자 궁, 시주의 자식 궁인데 일간이 크게 왕하여 타 신을 제압하거나 압도하게 되면 육친의 신이 해를 입게 되어 육친 관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는 경우이다. 그러므로 양인격에 용신을 잡을 때에는 신(身)의 강도에 따라서 극을 하거나 설기하는 신으.. 2024. 9. 15. 정인격(正印格)이란? 정인격(正印格)이란?오행 중에서 유일하게 인수격인 정인이 가장 좋다는 것이다. 편인은 음양(陰陽)이 같고 오행(五行)이 다르고 정인은 음양과 오행이 모두 다르다. 편인은 좋지 못하고 정인이 좋다는 말을 자주 하게 되는데 그것도 역시 사주의 구성을 잘 살펴봄으로써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한 가지 알아둘 것은 그래도 음양이 다름으로서 남녀가 구분이 된다는 점이다. 편인이나 정인은 모두가 나를 도와주고 먹여주고 키워 주고 공부시켜서 뒷바라지를 해주는 관계이므로 모태의 부모이고 어머니의 관계이다. 어머니에게서 편인이란 같은 음양이라면 이것은 딸이 되는 것인데 어머니와 음양이 다르다면 아들인 것이다. 정인격의 성격 사주의 구성에서 정인이 있게 되면 머리가 좋고 총명하고 재주가 있다. 그러나 고집이 있어서.. 2024. 9. 15. 천관귀인(天官貴人)과 천주귀인(天廚貴人) 천관귀인과 천주귀인 천관귀인(天官貴人)이란? 사주팔자에 천관귀인이 들어 있는 사람은 관직에 서도 크게 출세를 하게 된다. 가령 천관귀인이 있는 사람은 귀인의 도움으로 관계(官界)에서 출세를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이 되어서 승승장구하는 것인데 요즘 말로는 법에 관계되는 일이다. 사주 내에 천관귀인이 있는 사람은 법에 저촉되는 일이 거의 없으며 가령 문제가 있더라도 귀인의 도움으로 무사히 모면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이 살아가다보면 간혹 법적인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나 민사소송을 하게 되면 승소하는 경우이고, 형사적인 문제도 묘연하게 비켜나가는 것인데 그것은 이 천관귀인의 도움으로 보호를 받는 것이다. 천관귀인이 있게 되면 무엇보다도 법에 저촉이 되고 있는데 모면을 할 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 2024. 9. 15. 사주풀이-명예운과 벼슬운 사주풀이-명예운과 벼슬운 명예운과 벼슬운에 사용하는 용어명예운과 벼슬운에 사용하는 용어를 나열했습니다. 월상 편관격 - 인물이 준걸하다 월상 편관격 - 관재구설수 있다. 월상 편관격 - 흉격이다. 시상 편관격 - 고위관직이다.시상 정인격 - 충극이 되어 별로 좋지 못하다. 시상 편관격 – 화(火)운에 발복한다.시상 편관격 - 칠살을 억제하면 귀하다. 시상 편재격 - 관직에 오른다.시상 편관격 - 영달(榮達)하지 못하다. 빈합망관(貧合忘官) - 실속이 없다. 빈합망관(貧合忘官) - 관재구설이 있다. 빈합망살(貧合忘殺) - 투쟁을 좋아하는 사람이다. 빈합망살(貧合忘殺) - 송사에서 패한다. 노살장관(露殺藏官) - 관재구설이 있다.노살장관(露殺藏官) - 불화이다. 관왕살왕(官旺殺旺) - 목(木)운에 발복있다... 2024. 9. 15. 사주풀이-직업운 사주풀이-직업운직업운 용어직업운에 쓰이는 용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년상 겁재격 신왕 - 큰스님이다 년상 편인격 - 산부인과 의사이다 년상 정인격 - 산부인과 의사이다 월상 편재 - 가업을 잇는다. 월상 시상 편관격 - 대학 총장이다 월상 편재 - 장군이다. 월간 시간에 겁재 - 스님이다. 월간 시간에 비겁 - 걸인이다. 월지 편재격 - 대그룹 회장이다. 월지 식신 - 국회의원이다. 일주 양인 - 부장검사이다. 일주 간지동 - 스님이다. 시상 편인격 - 경찰 간부이다. 시상 편인격 - 산부인과 의사이다. 동월수(冬月水) - 걸인이다. 비견 겁재 - 예술가다. 겁재격 신왕 - 장관이다. 겁재격 - 방송국 사장이다. 관살비겁(官殺比劫) - 무인이다. 신왕에 관성-검사이다. 신강재약(.. 2024. 9. 15. 사주풀이-자녀운 사주풀이-자녀운자녀운에 쓰이는 용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시상 상관 신왕 - 자식의 복이 길하다. 시상 상관 신왕 - 자식이 많고 부유하다. 시상 상관 신왕 - 자식이 현명하다. 시상 상관 양인 - 자녀 운이 좋지 않다고 본다. 시상 상관 - 자식이 많다.시상 상관 - 자식의 수가 많다. 시상 편관격 - 자식이 귀하다. 시상 편관격 - 만년에 자식을 얻는다.시상 편관격 - 자식이 영특하지만, 재운이 좋지 못하다. 시상 편관 - 자식이 영특하다.시상 편재 – 첫째는 아들을 두게 된다.시상 비겁 - 자식의 몸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시상 일위귀격(時上一位貴格) - 자식이 많다. 식신 상관 - 자식이 많다. 식상 신약 - 자녀의 성질이 강폭 하다.. 상관과 식신 - 자식이 총명하고 출세한다. 상관과 인수 -.. 2024. 9. 15.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