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역학 이야기39

사주풀이 용어-재물운 재물운사주팔자를 풀어 재물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년상 시상 편관 - 재산 싸움한다. 년상 시상 식신격 - 재물복과 자식 복이 있다.년상 편인 - 재성을 빼앗아 가는 것을 조심하자. 년상 정관격 – 빈천할 수 있다. 년상 상관격 – 부귀하다. 년살 칠살 - 가난하고 수명이 짧을 수도 있다.월상 정관격 - 부귀하다. 월상 편재격 - 유산이 없다. 월상 편재격 – 재물이 부족하다. 월상 편관 – 빈곤운이 들어온다. 월상 간지에 호신(好神) - 가손에 신경써야 한다.월주 겁재 - 재물을 탕진하는 것을 조심하자.일지․월지에 살(殺) - 우환이 있다.일지 장생 – 부귀하다. 시지 녹(祿) - 재가 없으며 가난할 수 있다. 시지 양인 - 부명이다. 신왕재왕(身旺財旺) - 광명을 이룬다. 재관살(財官.. 2024. 9. 15.
육해살(六害殺) 육해살이란? 육해살이란 서로 투쟁하고 대립하여 은혜가 원수가 되어서 해를 끼친다는 살이다. 그러므로 충돌하거나 파한다는 뜻과는 다르다.   육해살의 특징 일상생활에서 장애물이 나타나서 해롭다는 뜻으로서 육해살이라고 부른다. 육해살을 잘못 이해하게 되면 별 것 아닌 것처럼 생각할지 모르나 사주에 육해가 있게 되면 갖가지 예기치 못한 일이 발생하게 된다. 육해살은 원진이나 귀문관살과 같은 여러 가지 특성이 있어서 변덕스럽고 포악하여 해가 될 때가 많다고 본다. 직접적으로 눈에 띄게 나타나는 위력적인 충돌이나 파괴력은 없지만 보이지 않은 속에서 은근히 살성(殺星)으로서 그 위력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이 육해살도 사주에서 신(身)이 왕하게 되면 서서히 물러가게 되고 행동을 하지 못하며 사주에서 신이 허하면 .. 2024. 9. 14.
육형(六刑)과 자형(自刑) 육형과 자형도 역시 삼형살이나 다를 바가 없다. 다만 삼형살은 인사신(寅巳申), 축술미(丑戌未)의 3자가 한꺼번에 있는 경우이고 2자만 있다면 육형 또는 자형이라고 하게 된다. 특히 육형과 자형은 관재구설수, 골육상쟁이나 세력 간에 갈등, 교통사고나 질병 등을 예고하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나쁘게만 보지 않는다.  육형이란?육형이란 몸에 생기는 형벌이란 뜻이다. 삼형살과 같이 세 명에서 괴롭히다가 두 명이 괴롭힌다면 그 힘이 확연히 차이가 나게 된다. 이 형살이 있게 되면 우선 예절에 벗어나고 질서 없는 행동을 서슴없이 하게 되고 성질이 포악해진다고 본다. 타인에게는 불쾌감을 주게 되는 것으로서 특히 육형의 경우에는 자기 스스로 흉사를 저지르게 되는 것이다.  자형이란? 자형(自刑)이란 자기 스스로 행하.. 2024. 9. 14.
역학용어-고란살(孤鸞殺)과 홍염살(紅艶殺) 고란살(孤鸞殺)이란? 사주 내에 고란살이 있으면 여자는 독수공방 하기 쉽고 남자는 외도하기 쉽다고 본다. 부부 운이 나빠져서 부부가 생사이별할 수도 있다고 한다. 남녀모두 이혼하거나 사별하고 남녀 관계에 있어서 파란이 많으며 남자는 여자의 덕이 없고 여자는 남자의 덕이 없어서 일명 신음살(呻吟煞)이라고 하여 특히 여자에게 작용하는 힘이 더욱 크다고 본다. 그리고 이 고란살이 사주 내에 있게 되면 건강상으로는 생식기에 질병이 생기기 쉽고 정신적으로 고독과 외로움을 느끼며 된다 하여 일명 과부살이 라고도 한다. 그러나 일간이 건강하고 일지에서 고란살을 파괴하는 운이 들어오게 되면 오히려 전화위복이 될 수도 있다.  홍염살(紅艶殺)이란?사주 내에 홍염살이 있으면 용모가 화려하여 연예인이나 화류계에 종사하는 여.. 2024. 9. 13.
역학용어-육친론(六親論) 육친론(六親論)  역학용어에서 육친론에 대하여 설명하면, 천간 중에서 내가 어느 오행을 타고 태어났어도 이 육친에 속하게 되는 것이 사주의 기본원리이다. 육친이란 부모나 조상을 비롯하여 나와 나의 처자식에까지 구성이 사주팔자 내에서 존재하게 된다. 그래서 사주팔자는 얽히고설킨 이 육친론을 잘 이해하면 사주를 쉽게 풀어나갈 수 있다. 육친론은 친인척 관계에 있어서 누가 어떻게 되고 누가 어떠한 일이 생기는지 알 수가 있다. 육친론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면 사주를 명쾌하게 풀어 나갈 수 없다.   육친(六親)과의 관계 우리는 사주팔자를 풀이함에 있어 제일 먼저 본인이라는 일주의 천간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사주팔자에서 나라는 존재가 항상 어디에 있는지 알아야 하는데 내가 태어난 날짜에 해당하는 천간이 바.. 2024. 9. 11.
역학용어-육십갑자(六十甲子) 육십갑자(六十甲子)  육십갑자란 천간 즉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와 지지의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를 차례대로 붙여 나가다가 보면 60번까지를 육십갑자라 부른다. 그러면 다시 甲子가 돌아오게 되는데 이 61번째가 돌아오게 되면 환갑 즉 一甲이라고 하여 잔치를 벌이기도 하는 것이 61번째의 천간과 지지가 만나는 年을 말한다. 이를 줄여서 六甲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육십갑자를 맞추어 나가는 데에는 천간의 양과 지지의 양이 서로 만나고 천간의 음과 지지의 음이 같이 만나게 되는 것이다. 가령 천간의 양과 지지의 음이 만나게 된.. 2024. 9. 2.
원진(怨嗔)과 원진살(怨嗔殺) 원진(怨嗔) 원진이란 서로 미워하고 증오하는 세력끼리 만난 것이다. 원진이 본인 사주 내에 있거나 배우자 혹은 동업자 간에 있다면 좋지 않다. 원진은 만나면 나쁜 관계로 발전하면서 성격과 행동이 포악해지므로 서로를 이해하고 좋아지려고 많은 노력을 하면서 인내심을 길러야 할 것이다. 사주에서는 충과 원진, 형, 충, 파를 가장 많이 따지게 된다. 그러나 신살의 종류가 너무나 많다. 하나하나를 따지게 되면 너무나 복잡하다. 그러나 충이나 원진, 해나 파, 형살 같은 신살은 대부분 그 위력이 나타난다고 본다. 원진살(怨嗔殺)  원진살에 걸리는 지지와 오행은 서로 미워하고 질투하는 살이다. 아래의 6가지가 있다.  ◉ 자미원진(子未怨嗔):쥐는 양의 배설물을 싫어한다. 양에 배설물이 쥐에 몸에 닿게 되면 살이 썩.. 2024. 9. 2.
역학용어-통변백변 통변백변(通變百變) 비견에서 인수에 이르는 10쌍의 통변성의 각각에서 또 10종류로 타 통변성을 보면 도합 100종류의 통변성 대 통변성의 관계가 생하므로 이것을 통변백변이라 하며, 후천운 간법에서 인사, 사업상태 등의 간명을 할 수 있다. 통변백변표 체용변화비견겁재식신상관편재정재편관정관편인인수비견비견겁재식신상관편재정재편관정관편인인수겁재겁재비견상관식신정재편재정관편관인수편관식신식신상관편재정재편관정관편인인수비견겁재상관상관식신정재편재정관편관인수편관겁재비견편재편재정재편관정관편인인수비견겁재식신상관정재정재편재정관편관인수편인겁재비견상관식신편관편관정관편인인수비견겁재식신상관편재정재정관정관편관인수편인겁재비견상관식신정재편재편인편인인수비견겁재식신상관편재정재편관정관인수인수편인겁재비견상관식신정재편재정관편관 통변백변표를 사용해서 .. 2024. 9. 2.
역학용어-시주(時柱)란 시주(時柱)란시주는 자식을 뜻하므로 시가 좋으면 자식들이 승승장구하게 되고 자식이 잘 되면 본인의 말년의 운이 좋은 것이다.  시주의 중요성 사주에서는 年月日時 어느 한 부분이라도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 없다. 일과 월과 마찬가지로 시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시는 하루 24시간 중에서 어느 시에 태어났느냐에 따라서 사주의 구성이 완전히 바뀌게 된다. 가령 여름에 火 절기에 태어난 사람이라도 밤 중 또는 새벽이라면 시원한 간지(干支)가 되는 것으로서 사주의 원국에서 火가 많은 무더운 사주가 새벽에 시원한 시에 태어났다면 이 사주는 목마른 고기가 물을 얻은 격으로서 시가 얼마나 중요한 지 짐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주에서 시는 말년 운을 뜻하므로 시주가 좋아야 본인의 말년의 운이 좋은 것이다. 사.. 2024. 9.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