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학 이야기

역학용어-육십갑자(六十甲子)

by w-storyteller 2024. 9. 2.
728x90
반응형

육십갑자
육십갑자

 

 

육십갑자(六十甲子)

 

육십갑자란 천간 즉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와 지지의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를 차례대로 붙여 나가다가 보면 60번까지를 육십갑자라 부른다. 그러면 다시 甲子가 돌아오게 되는데 이 61번째가 돌아오게 되면 환갑 즉 一甲이라고 하여 잔치를 벌이기도 하는 것이 61번째의 천간과 지지가 만나는 을 말한다. 이를 줄여서 六甲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육십갑자를 맞추어 나가는 데에는 천간의 양과 지지의 양이 서로 만나고 천간의 음과 지지의 음이 같이 만나게 되는 것이다. 가령 천간의 양과 지지의 음이 만나게 된다거나 지지의 양과 천간의 음이 만나게 되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그래서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이렇게 되며 육십갑자를 만드는 데에는 천간은 10개이고 지지는 12개이므로 천간은 6번이 들어가게 되고 지지는 12개이므로 5번이 들어감으로써 육십갑자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육십갑자 조견표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甲戌 乙亥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역학용어-육친론(六親論) (tistory.com)

 

역학용어-육친론(六親論)

육친론(六親論)  역학용어에서 육친론에 대하여 설명하면, 천간 중에서 내가 어느 오행을 타고 태어났어도 이 육친에 속하게 되는 것이 사주의 기본원리이다. 육친이란 부모나 조상을 비롯하여

windwater.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