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학 이야기

역학용어-용신(用神)의 의미

by w-storyteller 2023. 7. 3.
728x90
반응형

역학용어-용신의 의미
역학용어-용신의 의미

 

용신(用神)이란?

사주학에서 용신이란 가장 중요한 신이다. 사주를 판단함에 있어서 중요한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용신이다. 육친 사주에서 누차 말했듯이 사주에 귀한 신은 정재, 편재, 식신, 상관, 정인, 편인, 겁재 등을 뜻한다.

이 육친의 신이 사주 내에서 어떠한 작용을 하느냐에 따라서 사주의 길흉이 달라지듯이 사주 전체를 놓고 판단할 때 신()이 강한가, 약한가, 습한가, 조한가를 잘 살피어 이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신이 바로 약이 되는 신이며, 이것을 용신(用神)이라고 하게 된다.

사주를 판독함에 있어서 사주 8를 가지고 일간을 제외한 나머지 7가 일간을 도와 줄 수 있는 세력을 가려내어서 사주를 잘 풀리게 하는 것으로 용신이 되는 것이다. 가령 반대 세력과 찬성하는 세력이 팽팽히 맞서서 비슷하게 힘의 균형을 이루고 있을 때, 외부에서 찬성하는 신으로 들어오게 되는 이치인데 이렇게 되면 힘을 얻지 못하고 있던 신이 힘을 얻어서 활기를 되찾게 되는 것이다.

 

용신의 중요성

그래서 사주 전체에서 이 용신을 두고 사주학의 열매라고 하는 것이다. 사주학을 몇 십 년 공부하고 연구를 했다 하더라도 이 용신을 올바르게 잡지 못하면 이것은 사주공부를 했다고 볼 수 없다. 지금까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역대 대가들도 이 용신을 잡는데 역점을 두고 머리를 싸매고 싸워 왔다는 것이 사실이다. 아무리 사주학을 오래 공부했다 하더라도 용신을 바로 잡지 못하면 사주를 바로 볼 수가 없게 되고, 자칫하면 거꾸로 사주를 보게 되는 것이다. 사주 공부를 함에 있어서 용신을 잡는 방법과 이론을 공부하지 않고 연구하지 않으면 지금까지의 역학 공부를 한 것이 허사로 돌아가게 된다.

제일 첫 번째는 용신을 월령에서 찾지 못한다면 다른 곳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사주에서 용신이 없다면 이것은 일생을 두고 빈천하게 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주에서 용신을 찾고 용신에 해당하는 대운을 만나면 부귀하게 될 것이다. 용신이란 정확하게 말해서 사주에 일주천간(日柱天干)을 도와주는 세력을 말함이고, 일간에 용신을 도와주는 세력을 희신(喜神)이라 하게 되는데 이 희신이 들어와도 사주 운이 잘 풀리게 된다. 그렇다고 사주를 판독하는 데 있어서 용신에만 너무 집착해서는 안 된다. 용신에 집착하여 자칫 용신을 위한 사주가 되면 곤란한 것이다. 용신이란 어디까지나 일주를 도와주는 세력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용신이란 사주팔자의 여덟 글자 가운데 나를 도와줄 수 있는 가장 친근한 세력이다. 용신 오행이 정해지면 그 용신에 따른 희신을 정해야 하고 또 다른 용신이나 희신을 구분하여 사주를 판독하게 되는 것이다. 일간을 위주로 생조해 주는 용신이 정해져 있다면 사주 전체를 상생상극을 구분하고, 격국을 정하여 그 사람의 사주의 길흉화복을 논하게 되는 것이다.

 

정인격(正印格)의 용신 (tistory.com)

 

정인격(正印格)의 용신

정인격은 보통 인성격(印星格)이라 해서 정인과 편인을 합쳐서 부르게 된다. 그러나 엄밀히 따지고 보면 정인격과 편인격은 사주의 원국상 많은 차이점이 나타난다. 나를 도와주는 세력으로서

windwater.tistory.com

 

728x90
반응형

'역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인격(正印格)의 용신  (0) 2023.07.03
역학용어- 비견(比肩)과 겁재(劫財)  (0) 2023.07.03
역학용어-공망법(空亡法) 2  (0) 2023.07.03
역학용어-공망법(空亡法)  (0) 2023.07.03
역학용어- 귀숙(歸宿)  (0) 2023.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