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학 이야기

역학용어-공망법(空亡法) 2

by w-storyteller 2023. 7. 3.
728x90
반응형

공망은 일간을 중싱으로 보게 된다. 년지공망, 월지공망, 일지공망, 시지공망에 대하여 알아보자.

 

역학용어-공망법2
역학용어-공망법2

 

년지공망(年支空亡)

 

사주 내에서 년지에 공망이 들면 년지는 조상궁이므로 조상이 물려준 가업을 지키지 못하고 객지로 나가서 초년기에 고생을 하게 된다. 공망은 천간과 지지가 짝을 지어서 음양의 화합이 있어야 하는데, 지지는 있으나 천간이 없어서 음양의 조화가 없는 것이다.

 

월지공망(月支空亡)

 

사주 내에서 월지에 공망이 들면 부모 형제의 덕이 없어서 객지로 떠돌게 되며 형제와 동지 간에 우애가 없고 중년기에 고생을 하게 된다. 사주 내에서 월주는 부모 궁인데 월지가 공망이 되었다 함은 어머니가 아버지를 만나지 못한 격이어서 양()이 부족한 것을 뜻한다.

 

일지공망(日支空亡)

 

사주 내에서 일지가 공망이 되면, 첫째는 배우자 운이 없고, 음양의 근본이 없어서 홀로 살게 된다. 사주에서 천간은 기()를 담당하고 지지는 운()을 담당하게 되는데 기는 있어도 운이 없어서 지지인 땅에 기운을 받지 못하여 수명이 단명하게 된다. 그리고 일지의 공망은 본인의 신이 음양의 조화가 없는 것이므로 모든 일이 뜻대로 성사되지 못함을 의미한다.

 

 

시지공망(時支空亡)

 

사주 내에서 시지에 공망이 들면 시는 자식궁으로서 자식 덕이 없고 말년 운이 좋지 못하며 노후에 공허하여 허망하게 지내게 된다. 공망은 천간과 지지가 짝을 이루어 나아가다 보면 맨 끝에 천간이 없는 지지의 두 글자가 공망이 된다 하였으니 이는 여자에게 남자가 없는 현상인데, 우리는 흔히 말하기를 없는 것을 공친다거나 공쳤다라고 말하게 되고 장사를 하는 사람이 그날 수입이 없으면 그날 공쳤다고 말하기도 한다.

728x90
반응형

'역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용어- 비견(比肩)과 겁재(劫財)  (0) 2023.07.03
역학용어-용신(用神)의 의미  (0) 2023.07.03
역학용어-공망법(空亡法)  (0) 2023.07.03
역학용어- 귀숙(歸宿)  (0) 2023.07.02
내격간법(內格看法)  (0) 2023.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