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학에서 어느 것이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 이 공망법 또한 대단히 중요하다.
공망(空亡)이란 ?
공망(空亡)이란 甲子~乙丑으로서 천간과 지지가 양은 양끼리 음은 음끼리 짝을 이루어 나가다 보면 맨 끝에서 지지(地支)에 2字가 남게 되는데 그 두 자가 천간이 없다 하여 공망이라 한다.
공망이란 “없다” 내지는 “없앤다” 또는 “인연이 없다” 하여 대체로 천간은 남자이고, 지지는 여자이므로 공망이 있으면 남녀의 인연이 없다하여 매우 꺼리게 되는 것이다.
길성의 작용에서 공망이 들면 좋은 길성을 없애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흉하게 보는 것이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공망이 오히려 길성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사주에서 서로 흉성이 만나서 작용을 할 때에 오히려 이 공망이 들면 길성으로 나타나게 되고, 나쁜 흉성을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공망의 작용이란 좋은 점과 나쁜 점이 반반씩 작용을 하게 된다고 하지만 나쁜 점이 더욱 많다. 육친과의 관계에서 공망이 되면 육친과 인연이 박하고 덕이 없다. 그러므로 사주 내 공망이 들면 사주를 판독할 때 유심히 살펴야 보아야 한다. 가령 사주 구성에 따라서 용신을 잡아 놓았는데, 그 용신이 들어와도 사주가 잘 풀리지 않고 오히려 나빠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사주 내에 공망이 있기 때문이다. 자칫 잘못 보게 되면 오판하게 되는 것이 이 공망의 신이다.
반대로 사주의 원국에서 그 오행이 들어오게 되면 사주가 나빠지게 되는데 거꾸로 잘 풀리는 경우도 생긴다. 이것 또한 공망의 신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공망은 일간를 중심으로 보게 되는데, 년지/ 월지/ 시지의 공망이 있다.
'역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용어-용신(用神)의 의미 (0) | 2023.07.03 |
---|---|
역학용어-공망법(空亡法) 2 (0) | 2023.07.03 |
역학용어- 귀숙(歸宿) (0) | 2023.07.02 |
내격간법(內格看法) (0) | 2023.07.02 |
길신(吉神)과 길신격(吉神格) (0) | 202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