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

거유법(去留法)이란? 사주에서 탁명(濁命)을 청명(淸命)으로 변화시키는 법이다. 예를 들어서 식신이 상관을 섞어서 흉상으로 화(化)하고 정재는 편재를 섞어서 교집(交集)이라 하고 정관은 편관을 혼잡하여 살로 변하고 인수도 편인을 섞어서 나태로 된다. 이와 같이 오행의 정편이 혼재하면 사주의 변화의 이치에 따라 탁명이 된다. 예컨대 금백수청(金白水淸)이란 표현이 있는데 사주는 일로청징(一路淸澄)함을 최고 귀(貴)로 한다는 사고에 따르기 때문이다.음양이 혼재할 때에는 칠살의 이법으로 하나를 유(留)하고 하나를 거(去)할 수 있다. 정편재가 교집할 때는 비겁의 어느 것이든지 1개가 있으면 칠살에 해당되는 것은 거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유한다. 관살이 혼관할 때에는 식상 중 어느 것이든지 있으면 칠살에 해당되는 것은 거하고 그렇지 .. 2023. 6. 11.
권신득권(權神得權)이란? 권신득권의 뜻 사주 내에서 정관 또는 편관이 강한 것이다. 사주 간명의 요법은 신강인지 용신이 강한지를 보게 된다. 특히 정관이나 편관은 권신의 호칭이 있는 신으로 항상 일간에 대하여 동등한 역량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동등한 역량을 갖추었을 때, 권신득권이라 하며 귀기(貴氣)가 후하다고 보게 된다.사주의 권신이 힘이 없을 때 행운에서 재운을 맞이하던가, 관왕지에 순행하면 권신이 권(權)을 득하게 된다. 권신이 득한다는 것은 지위가 오르고 중인의 두령이 되어 명예와 존경을 받게 됨을 뜻한다. 2023. 6. 11.
패철(佩鐵)이란? 풍수지리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이용하는 도구인 패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패철(佩鐵)은 한자 뜻 그대로 지니는 나침반이란 뜻입니다. 즉, 지관들이 들고 다니는 남침반을 의미합니다. 다른 말로는 윤도(輪圖)라고 하는데, 윤도는 자침을 중앙에 두고 둘레에 24방위를 그려 넣은 것을 말하는 것이므로, 실제 방위표시에 중점을 둔 단어입니다. 패철에 새겨진 문자들은 음양, 10간과 12지, 오행(토,금,수,목,화), 팔괘, 숫자 등으로 음양오행사상과 관련이 깊은 산물임에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말 승려 도선(道詵)에 의해 풍수도참사상이 발달되면서, 패철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윤도라는 용어는 조선시대데 처음 등장하며, 지관들이 방위 결정의 필수적인 도구로 쓰게 되면서 역(易)과 방위.. 2023. 6.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