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相生)과 상극(相剋)
상생이란 물이 높은 곳에서부터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과 같이 자연의 순리를 뜻하고 상극이란 서로 지배하는 형국으로 상대의 세력을 극하는 성질을 말한다. 오행이란 원래 생하기도 하고 극하기도 하는 과정에서 발전을 가져오는 것이다.
상생(相生)
상생은 순행하면서 전진적이고 순리적인 질서를 의미하며 서로 생해준다는 뜻으로 도와준다, 만든다, 낳는다의 의미가 있다.
수생목(水生木)-물이 있어야 나무가 자란다. 물은 나무에게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영양소이다. 하지만 물이 지나치게 많으면 나무가 물에 뜨고 썩어버린다.
목생화(木生火)-빛과 열을 얻을 수 있는 전형적인 재료는 나무이다. 나무는 불을 태우게 되는데 나무가 지나치게 많으면 불이 꺼지게 되고 불이 많고 나무가 지나치게 적어도 꺼지게 되므로 적당한 나무를 필요로 한다.
화생토(火生土)-불이 타면 재가 남고 땅은 태양이 굽어야 거름지다. 불이 타고나면 재가 남고 그 재가 쌓여서 대지를 덮으면 땅이 기름지게 된다. 그러나 불이 지나치게 많으면 땅이 갈라지므로 火가 지나치게 왕왕함을 꺼린다.
토생금(土生金)-대지가 굳으면 땅 속에서 金이 나오는데 흙이 덮여야 광맥이 생긴다. 흙 속에는 많은 광물자원이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쇠가 지나치게 많으면 흙은 매우 약해진다. 그러므로 金이 너무 많은 것을 꺼린다.
금생수(金生水)-쇠가 녹으면 물이 되고 쇠는 물을 배설한다. 가을이 되면 만물은 열매를 맺게 되고 열매는 水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金이 지나치게 많으면 쇠는 물을 배설하지 못하고 잠겨지고 만다.
상극(相剋)
상극이란 서로 대립하고 부딪치는 것이 아니고 한쪽이 일방적으로 파괴하고 누른다는 뜻이다. 성장과 팽창 발전의 이면에는 억제하는 정지의 작용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극이라 해서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다. 오행의 상극이란 상충과는 다른 면이 있다. 상극이란 강자가 약자를 일방적으로 누르는 것이고 상충이란 오행이 서로 충돌하는 것이다.
수극화(水剋火)-물이 강하면 불은 꺼져 버린다.
화극금(火剋金)-불이 강하면 금은 불에 녹아 버린다.
금극목(金剋木)-쇠가 강하면 나무는 쇠에 의해서 베어진다.
목극토(木剋土)-나무가 강하면 흙에 영양소는 나무에 의해서 파괴된다.
토극수(土剋水)-흙이 강하면 물은 흙 속으로 스며든다.
'역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격간법(內格看法) (0) | 2023.07.02 |
---|---|
길신(吉神)과 길신격(吉神格) (0) | 2023.07.02 |
역학용어-불이간법(不易看法)과 불이불즉(不離不卽) (0) | 2023.07.02 |
궁합법(宮合法)이란? (0) | 2023.06.11 |
관인쌍전(官印双全)이란? (0) | 2023.06.11 |